명사(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은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가 있다.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의 역할과 선행사를 지칭하는 대명사로서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쓰인다.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차이점은 문장이 완전한 지 여부에 따른다.
선행사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
사람 | who/that | whose | whom/that |
사물 | which/that | whose/of which | which/that |
사람 & 사물 | that | X | that |
참고!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은 명사절이므로 형용사절에서는 제외했다.
(1) 주격 관계대명사
Patterns: n+who/that/which+V
He helped the old woman. + She was carrying heavy luggage. (old woman = She)
→ He helped the old woman who/that was carrying heavy luggage.
주격 관계대명사가 주어를 대신하고 있어 주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다.
(해석: 그는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 그 노파를 도왔다.)
The book is mine. + It is on the table. (The book = It)
→ The book which/that is on the table is mine.
(탁자 위에 있는 그 책은 내 것이다.)
I know the candidate whom was elected. (x)
I know the candidate who was elected. (o)
관계대명사 주격 뒤에는 동사가 따른다. 주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다.
(2) 소유격 관계대명사
Patterns: ① n+whose+n+V
He has the original book.
+ The cover of the book is brown.
→ He has the original book whose the cover is brown. (whose = and its)
→ He has the original book, the cover of which is brown.
관계사절 내에 명사 cover가 누구의 것인지 소유를 나타내므로 whose를 사용.
(해석: 그는 표지가 갈색인 원본을 가지고 있다.)
The house which windows are broken is unoccupied. (x)
The house whose windows are broken is unoccupied. (o)
(창문이 부서진 그 집은 비어있다.)
관계대명사 목적격(which) 뒤에는 주어+동사가 오며 동사의 목적어가 없는(Ø) 불완전 구조이다. which 이하의 동사(is unoccupied)가 수동태이므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고 완전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틀렸다. 관계대명사 소유격 또한 목적격과 마찬가지로 주어+동사의 어순이지만 소유격 뒤에 주어는 반드시 명사이며 whose 이하가 완전한 구조라는 점에서 목적격과 차이가 있다.
n+whose+n+V → n+of which / whom+the+n+V
I bought a book whose author is a farmer.
(내가 구매한 책의 저자는 농부이다.)
→ I bought a book of which the author is a farmer.
The old couple adopted a boy whose parents died in an accident.
→ The old couple adopted a boy of whom the parents died in an accident.
(노부부는 사고로 부모를 잃은 한 소년을 입양했다.)
Patterns: ② n+whose+n+S+V
The woman whose window my boy broke came to my house and asked me to pay for the damage.
(우리 애가 깨뜨린 창문의 소유주인 여성이 찾아와서 손해에 대해 배상해줄 것을 요청했다.)
((3) 목적격 관계대명사
Patterns: n+[whom(who)/that/which]+S+V
He is the man. + I saw him yesterday. (the man = him)
→ He is the man whom/that I saw Ø yesterday.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목적어를 대신하고 있어서 목적어가 없는(Ø) 불완전 구조이다.
→ He is the man (whom/that) I saw Ø
yesterday.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 가능)
I asked him who he was calling. (x)
I asked him whom he was calling. (o)
관계대명사 목적격 뒤에는 주어+동사가 오며 관계대명사가 calling의 목적어로 쓰여 calling 다음에 목적어가 없는(Ø) 불완전 구조이다.
The people are pleasant. + I live with them. (The people = them)
→ The people whom/that I live with Ø are pleasant.
→ The people (whom/that) I live with Ø are pleasant.
→ The people with whom I live are pleasant.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한 경우 that을 쓸 수 없으며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뒤는 완전한 구조가 따른다.
선행사에 최상급, 서수, all, any, no, little, the only, the very, the same, everything과 같은 -thing으로 끝나는 말이 있을 때 또는 선행사가 사람과 동물(사물)일 때 that을 사용한다.
They are talking about the people and countries that they had visited.
(그들은 자신들이 방문했던 사람들과 국가들에 대해 얘기했다.)
This is the worst film that I have ever seen.
(이것은 내가 지금까지 본 것 중에서 가장 최악의 영화이다.)
From the moral point of view, Tom is the only candidate that represents my values.
(도의적인 면에서 보면, 나의 가치관을 대변하는 유일한 후보이다.)
There has been nothing that changed in the room.
(방에서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