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정보”를 표현할 때는 whether, “확실한 정보”를 나타내면 that을 사용한다.
I know that he is honest. (그가 정직하다는 걸 안다.)
I don’t know whether he is honest. (그가 정직한 지 모르겠다.)
둘 중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That / Whether] the plan is feasible remains to be proved.
2. Logic tells us [that / whether] a deductive argument is valid or invalid.
3. Television manufacturers, on the other hand, claim [that / whether] consumers do not want a complex system.
1. [That / Whether] the plan is feasible remains to be proved.
[해설] 문제에서 remain은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 아직 ~해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remains to be proved는 입증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는 뜻이므로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해석] 그 계획이 실현 가능한 지는 입증해보는 일만 남았다.
2. Logic tells us [that / whether] a deductive argument is valid or not.
[해설] 불확실성을 나타내므로 whether가 맞다. 또한 or not과 짝꿍을 이루는 접속사는 whether이다.
[해석] 논리학은 연역적인 논증이 유효한지 어떤지를 입증한다.
[어휘] logic 논리, 논리학 / deductive argument 연역적인 논증
3. Television manufacturers, on the other hand, claim [that / whether] consumers do not want a complex system.
[해설] 사실여부에 관한 확실한 정보를 나타내므로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맞다. 의문을 나타내는 don’t know, doubt, wonder 등일 경우 명사절을 취하는 접속사는 whether이다.
[해석] 반면에 텔레비전 제조업자들은 소비자들이 복잡한 TV 시스템을 원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how는 의문부사이므로 뒤에 따르는 구조가 완전한 반면에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어 문장에서 명사역할을 하지만 불완전한 구조이다. 둘 다 의문사로 쓰일 때 우리말로 “어떻게” 라는 뜻으로 비슷하다.
What’s the weather like in London today? (오늘 런던 날씨는 어떠니?)
= How’s the weather in London today?
→ 날씨를 묻는 표현에서는 둘 다 차이가 없다.
A: What is he like?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
B: He’s very kind. (그는 매우 친절해.)
A: How’s John? (잔은 어때 보여?)
B: Great. (좋아 보여)
사람에 관해 물을 때 what~like? 의 경우 그 사람의 천성, 인품을 묻는 것이며 how는 그 날의 기분처럼 가변적인 상황을 물을 때 사용한다.
know, doubt, wonder, be sure, be certain 뒤에서 “의혹 또는 불확실한 정보”를 나타내며 둘 다 명사절을 이끈다.
We don’t know whether/if he will come.
(그가 올지 모르겠다.)
I asked him whether/if he had ever been abroad.
(난 그에게 해외에 가 본 적이 있었는지를 물었다.)
If he will succeed is doubtful. (x)
Whether he will succeed is doubtful. (o)
(그가 성공할지 어떨지 의심스럽다.)
→ 명사절이 주어일 때는 whether만 가능하다
He doesn’t know if to stay or leave. (x)
He doesn’t know whether to stay or leave. (o)
(그는 남을지 떠날지를 모른다.)
→ 의문사+to부정사로 축약은 whether만 가능하다.
The question of if donkeys are stubborn or simply “misunderstood” has been discussed. (x)
The question of whether donkeys are stubborn or simply “misunderstood” has been discussed. (o)
(당나귀가 고집이 센 동물인지 단지 오해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논쟁이 되어왔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는 whether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