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법이란 사실과 반대되는 일이나 가능성이 희박한 일에 대해 말하는 시점과 다른 시제를 사용해서 나타내는 어법이다.
가정법 종류
1. 가정법 현재: 현재나 미래의 일에 대한 단순한 가정한다. if절의 시제가 현재라 가정법 현재로 분류하나 보통 직설법의 조건 부사절로 쓰인다.
Pattern: If+S+동사원형/동사현재형 ~, S+will/shall/can/may+동사원형 If it rains tomorrow, we will stay at home.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리는 집에 있을 것이다.)
I would be grateful ifyouwould give me a little help. (약간의 도움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if절에 주어의 의지(willingness)를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 if절, 즉 조건부사절에서는 미래를 나타내는 will/would를 사용하지 않는다.
Pattern: If+S+현재동사 ~, S+현재동사 If/When I don’t get up early, I am late for school. (일찍 일어나지 않으면 난 학교에 지각한다.) If the sun shines all day, it gets hot. (해가 하루 종일 비치면 날씨는 더워진다.)
→ if절과 주절의 시제가 현재동사인 zero conditional은 ‘일반적 사실’을 나타낼 때 쓰인다.
Review Test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f a ruby is heated, it _______ temporarily lose its color. (A) will (B) would (C) has (D) does
정답: (A)
해설: 조건부사절의 경우 현재시제로 미래를 대신한다. 단, 주절에는 미래시제를 사용하므로 (A)가 맞다. 해석: 만약 루비가 가열되면 일시적으로 색깔이 빠질 것이다. [어휘] temporarily 일시적으로
2.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한다. 시제는 과거이나 말하는 시점은 현재이므로 현재로 해석한다.
Pattern: If+S+Ved(be동사일 경우 were) ~, S+would/could/should/might+동사원형
If I knew his phone number, I would call him.
(그의 전화번호를 안다면, 그에게 전화를 할 텐데.)
= I can’t call him because I don’t know his phone number. <직설법>
If I were you, I would accept that offer. (내가 너라면 그 제안을 받아들일 텐데.)
= I can’t accept that offer because I am not you. <직설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