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동명사
01. 동명사의 역할과 형태
준동사의 하나로써 ‘동사원형+ing’ 형태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자리에 위치하는 명사의 역할과 목적어나 보어를 취하거나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동사적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
1. 명사 역할: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자리에 온다.
Studying foreign languages is not easy. <주어자리>
(외국어를 공부하기란 쉽지 않다.)
→ 동명사(studying)는 문장에서 주어인 명사의 역할과 타동사(study)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목적어(foreign languages)를 취하고 있다.
He enjoys riding a bicycle. <동사의 목적어자리>
(그는 자전거 타는 것을 좋아한다.)
→ 동명사(riding)는 문장에서 동사의 목적어인 명사의 역할과 타동사(ride)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목적어(a bicycle)를 취하고 있다.
After finishing the job, he went home. <전치사의 목적어자리>
(그 일을 끝마친 후 그는 집으로 갔다.)
→ 동명사(finishing)는 문장에서 전치사의 목적어인 명사의 역할과 타동사(finish)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목적어(the job)를 취하고 있다.
Our duty is fighting for independence and freedom. <보어자리>
(우리의 임무는 독립과 자유를 위해 싸우는 것이다.)
→ 동명사(fighting)는 문장에서 동사의 보어인 명사의 역할과 자동사(fight)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직접 목적어를 취할 수 없으므로 전치사(for)를 필요로 한다.
2. 동명사의 부정: 동명사 앞에 not이나 never를 붙인다.
He is considering not going there.
(그는 그곳에 가지 않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3. 동명사의 시제: 단순형(ing)은 주절의 동사시제와 같거나 나중의 일을, 완료형(having p.p.)은 주절의 동사보다 한 시제가 앞선다.
He feels like being a hero.
(그는 영웅이 되고 싶어한다.)
= He feels as if he is a hero.
I admit not having prepared properly for my last exam.
(나는 지난번 시험을 제대로 준비하지 않았음을 인정한다.)
= I admit that I didn’t prepare properly for my last exam.
→ 동명사의 시제가 주절의 동사(admit)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므로 완료동명사(having prepared)를 사용했다.
Review Test
다음 밑줄 친 단어가 동명사일 경우 (G)를 현재분사일 경우(P)를 우측 괄호 안에 적어시오.
1. Winning means being unafraid to lose. ( ) ( )
2. He was laughing and crying at the same time. ( )
3. My favorite hobby is collecting stamps. ( )
4. There was laughing and crying. ( )
5. Besides bungee-jumping and scuba diving, we have lots of things in common. ( )
정답 및 해설
1. Winning means being unafraid to lose. (G) (G)
[해설] winning은 승리 뜻의 명사화된 동명사이다. mean을 비롯해 begin, start, continue, hate, love, plan 등은 동명사와 부정사 모두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다. being은 동사의 목적어로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해석] 승리는 패배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2. He was laughing and crying at the same time. (P)
[해설] 진행형(be+~ing)이므로 현재분사이다.
[해석] 그는 동시에 웃다가 울다가 했다.
3. My favorite hobby is collecting stamps. (G)
[해설] 진행형일 경우 ‘나의 취미가 우표를 모으는 중이다’처럼 어색한 해석이 된다. be+~ing 형식이 동명사인 경우는 be동사 뒤 동명사가 주어와 같은 동격이므로 be 동사 뒷부분을 주어로 해서 거꾸로 써도 괜찮다. Collecting stamps is my favorite hobby. (우표 수집은 내가 좋아하는 취미이다.)
[해석] 내가 좋아하는 취미는 우표 수집이다.
4. There was laughing and crying. (G)
[해설] ‘~이 있다’는 there V+S 구문이다. laughing and crying은 주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해석] 웃음과 울음이 있었다.
5. Besides bungee-jumping and scuba diving, we have lots of things in common. (G)
[해설] 전치사(besides)의 목적어이므로 동명사이다.
[해석] 번지 점프와 스쿠버 다이빙 외에도 우리는 공통점이 많다.
다음 밑줄 친 단어가 동명사일 경우 (G)를 현재분사일 경우(P)를 우측 괄호 안에 적어시오.
6. Drinking alcohol can affect lives in a number of ways. ( )
7. A magician and his talking parrot arrived at the party. ( )
8. I was annoyed by my dog’s barking loudly late at night. ( )
9. I was annoyed by my dog constantly barking late at night. ( )
10. I could hear my dog barking loudly. ( )
6. Drinking alcohol can affect lives in a number of ways. (G)
[해설] 목적어(alcohol)를 취하면서 주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동명사 주어는 무생물 주어이므로 종종 “부사적 해석”을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수 있다. 조동사가 있으므로 ‘조건’으로 해석한다.
[해석] 술을 마시면 다양한 방법으로 삶에 영향을 미친다.
7. A magician and his talking parrot arrived at the party. (P)
[해설] 명사를 수식하는 분사이다.
[해석] 마술사와 그의 말하는 앵무새가 파티에 도착했다.
8. I was annoyed by my dog’s barking loudly late at night. (G)
[해설] 전치사 by의 목적어이므로 동명사이다. my dog’s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이다.
[해석] 밤늦게 나의 개가 시끄럽게 짖어대어 화가 났다.
9. I was annoyed by my dog constantly barking late at night. (P)
[해설] 선행하는 명사(dog)를 수식하는 분사이다. 관계대명사로 전환하면 제한적 용법으로 which constantly barked late at night가 된다.
[해석] 나는 밤늦게 끊임없이 짖어대는 나의 개에 화가 났다.
10. I could hear my dog barking loudly. (P)
[해설] 지각동사 5형식 구문이다. 목적보어로 분사가 쓰였다.
[해석] 나의 개가 시끄럽게 짖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