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가 있다. 타동사는 목적어를 가지지만 자동사는 목적어를 취하기 위해서는 전치사가 필요하다.
01. 자동사
자동사는 보어(주격 보어)의 필요여부에 따라 완전 자동사와 불완전 자동사로 나뉜다.
1. 1형식: 동사가 완전 자동사이기에 보어가 필요 없다. 동사를 수식하는 수식어구인 부사(구)는 취할 수 있다. Flowers blossom beautifully. (꽃이 아름답게 핀다.)
2. 2형식: 동사가 불완전 자동사이기에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보어가 필요하다. 주어와 보어를 연결한다고 해서 연결동사(Linking Verbs) 라고 부른다.
This book isinteresting. (이 책은 재미있다.) [형용사 보어] They are middle school students. (그들은 중학생이다.) [명사보어=주어와 동격] My hobby isto collect stamps. (내 취미는 우표 수집이다.) [부정사 보어]
3.연결동사 종류 1) become/get/turn/grow/go: 사람의 감정이나 사물의 변화를 묘사하는 상태동사로서 보어를 필요로 한다. ~이 되다, (~ 한 상태로) 변하다 라는 뜻을 가진다.
She became tired of living. (그녀는 삶에 지쳤다.) He often gets excited before an exam. (그는 종종 시험 전에 흥분한다.) The leaves were turningbrown. (나뭇잎들이 누렇게 변하고 있었다.) He grew more and more angry with her. (그는 더욱 더 그녀에게 화가 나게 되었다.)
Something must have gone wrong: the beer went sour and undrinkable. (뭔가가 잘못됐음이 틀림없다: 맥주가 상해 마실 수 없게 되었다.) → go는 특히 부정적인 변화에 쓰인다.
2)감각동사: feel/taste/look/smell/sound+형용사 I feel good today. (오늘 기분이 좋군요.) I feel well. (건강이 좋다.) → well이 형용사로 쓰이면 ‘건강한’ 뜻이다.
This cake tastes delicious. (이 케이크는 아주 맛있어.) She looked very tired. (그녀는 매우 피곤해 보였다.) The room smells awful. (그 방에서 지독한 냄새가 난다.) John doesn’t sound good. (존은 상태가 별로 좋은 것 같지 않다.) It looks like rain. (비가 올 것 같다.) It sounds like a piece of cake. (그것은 식은죽 먹기 같군요.) 구어체의 경우 감각동사는 형용사 보어 대신에 as if나 as though의 의미인 전치사 like를 쓰기도 한다.
3) seem/appear/remain(to be)+형용사 He seems (to be) angry. (그는 화난 것처럼 보인다.) = It seems (that) he is angry.
He remained (to be) silent. (그는 침묵하고 있었다.) He appears (to be) irritated by the repeated questioning. (그는 거듭된 질문에 짜증이 난 것 같다.)
※같은 단어라도 형식과 품사에 따라 문장구조는 달라진다. She lookedreluctant. (그녀는 주저하는 듯 보였다.) [불완전 자동사의 보어자리]
She looked at the scenes reluctant. (x) She looked at the scenes reluctantly. (o) (그녀는 마지못해 그 광경을 보았다.) → 자동사가 전치사와 함께 타동사구(looked at)를 이루어 목적어를 취하고 있다.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가 맞다.
It smellssweet and spicy. (그것은 달고 매운 냄새가 난다.) [불완전 자동사의 보어자리]
It smelled the lilies happy. (x) It smelled the lilies happily. (o) (그녀는 만족스럽게 백합의 향을 맡았다.) →smell은 자동사일 경우 ‘~냄새가 나다’ 인 반면 타동사는 ‘~냄새를 맡다’ 이다. 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나오므로 타동사이며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 happily가 필요하다.
Growingold is unavoidable for everyone. (늙어 가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피할 수 없다.)
These plants grow quick in a rain forest. (x) These plants grow quickly in a rain forest. (o) (이러한 식물들은 열대우림에서는 빨리 자란다.) →grow동사가 ‘~하게 되다’ 뜻으로 become유형인 2형식 동사로 쓰일 때는 보어를 필요로 하지만 ‘커지다, 늘어나다, 자라다’ 뜻의 완전 자동사로 쓰일 때는 보어가 불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