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절 (3)

절이 문장에서 명사처럼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시험에서는 명사절이 완전/불완전 여부에 따라 접속사를 선택하는 문제가 주를 이룬다.

3. 보어로 쓰인 명사절

① 보어자리에 위치한 절이 완전 구조
S+V+C(접속사/의문사+S+V)
C [명사절 내에 주어나, 목적어, 보어가 생략되지 않은 완전 구조]

One advantage of solar energy is that it will never run out.
(
태양 에너지의 가지 이점은 절대로 고갈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is whether we can finish it in a day.
(
문제는 우리가 하루 만에 그것을 끝낼 있느냐는 것이다.)

보어자리에 위치한 절이 불완전 구조
S+V+C(의문사/관계사+S+V+¢)
C [의문사나 관계사가 동사의 보어로 쓰여 명사절 내에 보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

He is not what he was ¢.
(
그는 과거의 그가 아니다.)
what 명사절 내에서 was 보어 역할을 하므로 보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

Review Test

둘 중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You are [that / what] you say.

2.   The trouble with this plan is [that / what] we don’t have enough money.

정답 및 해설

1.
[
정답] what
[해설] 보어자리에 쓰인 명사절 내에 동사 say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므로 what 적절하다.
[해석] 말하는 대로 이루어집니다.

2.
[정답] that
[해설] 보어자리에 쓰인 명사절이 완전 구조이므로 접속사 that 적절하다.
[해석] 계획이 안고 있는 문제점은 우리에게 충분한 돈이 없다는 거다.

Write A Comment

카카오톡 채널 상담하기
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