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사+전치사, 자동사+부사+전치사, 타동사+명사+전치사를 하나의 타동사구로 보고 수동태로 만들 수 있다.
1. 자동사+전치사=타동사구
She looked after my dog. [3형식] (그녀는 내 개를 돌봤다.)
→ My dog was looked afterby her. [1형식] 타동사구를 수동태로 전환할 경우, 타동사구 끝의 전치사(after)와 전치사 by가 겹치는 ‘전치사+전치사’ 형태에 유의한다. 2개의 전치사가 연이어 있기 때문에 by앞의 전치사를 생략하는 실수를 범하기 쉽다. 타동사구는 하나의 덩어리임으로 분리할 수 없다.
She waited for him. → He was waited for by her. (x) 자동사+전치사 구조라 해도 수동태에 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자동사+전치사 구조를 수동태에 쓰기 위해서는 자동사+전치사가 의미단위(semantic unit)를 이뤄야 한다. 의미단위란 타동사로 대체 가능한 단어가 있느냐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자동사+전치사 구조를 한 단어로 표현을 달리 할 수 없다면 의미단위가 아닌 것이다. 위 예문에서 look after = tend라고 볼 수 있지만 wait for = await 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wait for는 의미단위를 이루지 못하므로 수동태에 쓸 수 없다.
※ wait for vs. await
①주어가사람또는동물인경우, wait for를사용한다.
We are waiting for him. (우리는 그를 기다리고 있다.) The dog is waiting for his owner to return. (개는 주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②주어가사람또는동물이아닌경우, await을사용한다. A warm welcomeawaits you. (따뜻한 환영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③주어가사람이지만“긴급하고간절한상황”에서는 await을사용한다. We are nervously awaiting these results. (우리는 초조하게 이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2. 자동사+부사+전치사=타동사구
They speak well of him. [3형식] (그들은 그에 대해 좋게 말한다.)
→ He is spoken well of (by them). (x) → He is well spoken of (by them). [1형식] 부사는피수식어앞에위치한다.
The villagers looked up to him. [3형식] (마을사람들은그를존경했다.)
→ He was looked up to by the villagers.
자동사+부사+전치사로 이루어진 동사구를 보통 three-word verbs ‘세 단어 동사’ 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예로 come up with ~의 병에 걸리다 do away with ~을 없애다 go away with ~을 가지고 도망치다 keep up with ~에 뒤떨어지지 않다 look down on깔보다 look up to ~을 존경하다 등이 있다.
3. 타동사+명사+전치사=타동사구
A teacher should take good care of his students. (교사는 학생들을 각별히 돌봐야 한다.)
→ His students shouldbe taken good care of by a teacher.
→Good careshould be taken of his students by a teacher.
예문의 good care처럼타동사의목적어에수식어구가있을경우, 타동사의목적어를수동태주어로사용해서수동태로쓸수있다.
주요타동사구로 take care of ~을돌보다, ~에주의하다take notice of ~을주의하다take part in ~에참가하다pay attention to ~에주목하다give heed to ~에주의하다find fault with ~을탓하다등이있다.
Review Test
밑줄친부분을바르게고치시오.
1.Animals in captivity have already adapted to taking care of by humans. [고난도]
2.He has thousands of employees working in several factories around the world, and he is looked up and is respected by them.
정답 및 해설
1. [해설] being taken으로 고친다. adapt가 타동사일 경우 ~+목적어+to/for+명사 형식을 취한다. 즉 adapt A to/for B:A를 B에 적응시키다[맞추다] 반면 adapt가 자동사일 경우 전치사 to를 동반해 ~에 순응하다[적응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문제의 경우, 자동사의 현재완료형(have adapted)이므로 to는 전치사이다. 타동사구 동명사 taking care of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틀렸다. 따라서 수동형 동명사인 being taken으로 고쳐 써야 한다. [해석] 사육된 동물들은 이미 사람들의 보살핌에 적응을 해왔다. [어휘] in captivity포로가 되어
2. [해설] is looked up to and respected로 고친다. 자동사+부사 조합의 구동사 look up은 목적어를 취할 수 없으므로 수동태에 쓸 수 없다. 자동사+부사 조합이 목적어를 취하기 위해서는 전치사가 필요하다. look up to(자동사+부사+전치사)는 타동사구를 이룬다. 덩어리이므로 수동태로 전환시 전치사 to를 생략해서는 안 된다. is가 반복되므로 등위접속사 다음의 is respected에서 조동사 is는 생략했다. [해석] 그는 세계곳곳의 여러 공장에서 근무하는 수천의 직원들을 거느리고 있으며 그는 그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