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부 후치

수식부만 후치한 경우에는 관계대명사의 선행사에 주의해야 한다. 문장을 꾸미고 윤색하는 문학 작품 등에서 수식부 형용사절이 후치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He is truly happy who makes others happy.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사람은 정말로 행복하다.)
he who ~하는 사람 / those who ~하는 사람들

A new master will come tomorrow who will teach you German. Alphonse Daudet’s The Last Lesson

(너희들에게 독일어를 가르칠 새로운 선생님이 내일 오실 거다.)

I have encountered nothing on Apollo 15 or in this age of space and science that dilutes my faith in God.

(아폴로 15호에 탑승한 이러한 우주과학시대에서도 나는 신에 대한 나의 믿음을 약화시킬 어떠한 것도 접하지 못했다.)

that 선행사는 space and science 아니다. 병렬구조로 연결된 전치사구(on Apollo 15 or in this age of space and science) 제거하고 문장을 보면 선행사는 nothing이라는 점을 있다. 특히 선행사가 -thing으로 끝나는 대명사일 경우 that 사용한다. 수식부를 후치한 경우이다.

But Mathilde, my dear friend, that wasn’t a real diamond necklace you borrowed from me. Guy de Maupassant’s The Lost Necklace
(하지만 마틸데, 나의 소중한 친구여, 네가 나한테서 빌려간 저것은 진짜 다이아몬드 목걸이가 아니야.)
명사 necklace 대명사 you 사이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생략되었다. (that) you borrowed from me 앞의 diamond necklace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선행사인 대명사 that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다.

The Necklace by Guy De Maupassant
The Necklace by Guy De Maupassant / Photo Courtesy: Fictionistic

The time will come when you will need my help.

(네가 나의 도움을 필요로 때가 것이다.)
관계부사 when 이끄는 형용사절을 후치했다.

The possibility never occurred to me that you would decline my invitation.

(네가 나의 초대를 거절할거라는 가능성은 나에게 전혀 떠오르지 않았다.)

동격 that절을 후치했다.

Review Test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Every year, new roller coasters are built [what / that] are bigger, faster, and wilder than ever.

2.       Researchers have established that when people are mentally engaged, biochemical changes occur in the brain that [allows / allow] it to act more effectively in cognitive areas such as attention and memory.

정답 및 해설

1. 정답 that
[해석]
매년 어느 것보다도 크고, 빠르고, 거친 새로운 롤러코스터가 만들어진다.

[구문]
Every year, new roller coasters [that are bigger, faster, and wilder than ever] are built.
[ ] new roller coasters 수식하는 제한 형용사절이다.

(
수식부 후치한 경우)
Every year, new roller coasters are built [that are bigger, faster, and wilder than ever].
주어(수식부를 포함한 주어를 지칭) 글의 안정감을 위해 후치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문제처럼 수식부(=제한 형용사절) 따로 떼어 후치 하는 경우도 있다.

2. 정답 allow
[해설]
관계대명사 that 선행사는 바로 앞에 있는 the brain 아니라, biochemical changes이다. 문장에서 부속성분인 전치사구, 전치사 in 목적어 the brain 선행사가 아니므로 전치사구를 제거하고 문장을 보면 that 선행사는 복수명사 biochemical changes이므로 동사는 복수인 allow 고쳐야 한다. 주어를 수식하는 수식부만 따로 떼어 후치한 경우이다.

[해석]
연구자들은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활동 중일 , 두뇌가 주의력과 기억력 같은 인지적 영역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할 있게 주는 생화학적인 변화가 두뇌 안에서 일어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Write A Comment

카카오톡 채널 상담하기
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