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원형/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동사

사역동사(make, have, let) 목적격 보어로 to없는 동사원형을 취한다. 지각동사(see, hear, observe, listen to, feel)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 또는 분사를 취한다.

사역동사는 목적격 보어로 to없는 동사원형을 취한다.

사역동사(make, have, let) 목적격 보어로 to없는 동사원형을 취한다.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는 S2(의미상 주어) + V2 관계

I made my son wash my car.
(나는 내 아들에게 차를 세차하도록 시켰다.)

I had him clean his room.
(나는 그가 방을 청소하도록 했다.)

I let my son drive my vehicle to work.
(아들이 내 차를 몰고 직장에 가는 것을 허용했다.)

My hasty answer made him (be) angry.
(나의 경솔한 답변이 그를 화나게 했다.)

보어자리에 형용사가 경우 앞에 (be) 생략된 것이며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는 앞서처럼 S2(의미상 주어) + V2 관계가 성립이 된다.

 

I had my car repair. (x)
I had my car repaired. (o)
(나는 차를 수리 받았다. → 누군가가 나의 차를 수리했다는 의미)

사역동사(had)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리를 받다라는 의미로 수동 관계이다.

지각동사는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 또는 분사를 취한다.

지각동사(see, hear, observe, listen to, feel)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 또는 분사를 취한다.
The hunter saw a bear approach the river.

(사냥꾼은 곰 한 마리가 강에 다가오는 것을 보았다.)

She saw someone standing in her doorway.

(그녀는 누군가가 자신의 출입구에 서있는 것을 보았다.)

We saw the old buildings pulled down one after another.

(우리는 낡은 건물들이 차례로 허물어지는 것을 보았다.)

지각동사를 사용했을 목적격 보어로 to 없는 동사원형과 분사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①번 예문처럼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을 사용하면 주어(The hunter) 목적어(a bear) 행위를 처음서부터 끝까지 전부 관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②번 예문처럼 목적격 보어로 분사를 사용하면 주어(She) 목적어(someone) 행위를 전부가 아닌 행동의 일부인 부분적 관찰을 의미한다. ③번 예문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동 관계이므로 과거분사를 취한다.

Write A Comment

카카오톡 채널 상담하기
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