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t절은 명사절로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 등 쓰임이 다양하다.
That he will succeed is certain. [주어]
It is certain that he will succeed. [진주어]
He recognized that he was wrong. [목적어]
She resembles her mother in that she is fond of music. [전치사의 목적어]
The truth is that she didn’t know it. [보어]
The news that he won surprised us all. [동격]
It seems that he is angry. [동사 뒤 보어]
→ it~that 가주어, 진주어 구문이 아니다. it은 형식주어이며 that절 안의 주어가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한다.
I am happy that she accepted my proposal. [형용사 뒤 보어]
I’m sure that she will accept my proposal. [형용사 뒤 보어]
Jane is such a pretty woman that everyone loves her. [such~that 결과구문]
He studied so hard that he passed the exam. [so~that 결과구문]
Squirrels hoard their nuts and berries so that they can get through the winter.
(다람쥐들은 겨울을 나기 위해 견과류와 나무 열매를 저장한다.) [목적]
(다람쥐들은 견과류와 나무 열매를 저장한다. 그래서 겨울을 날 수 있다.) [결과]
He studied hard, so that he passed the exam. [so that 결과]
(그는 열심히 공부했다. 그래서 그는 시험에 합격했다.)
→ so that 구문은 목적, 결과 두 가지의 뜻을 가질 수 있으므로 결과의 의미로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so that 앞에 콤마를 둔다.
The reason that Americans can afford such large debts is that interest rates are so low. [관계부사 why 대용]
(미국인들이 거대한 빚을 수용할 형편이 되는 이유는 (자국에서) 이자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He made it quite clear that he preferred to live here. [진목적어]
(그는 자신이 여기서 사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확실히 말했다.)
He will succeed is certain. (x)
That he will succeed is certain. (o)
→ 명사절이 주어일 때
The news he won surprised us all. (x)
The news that he won surprised us all. (o)
→ that절이 동격어구와 동격일 때
We are informed the midterm exam has been postponed. (x)
We are informed that the midterm exam has been postponed. (o)
→ 수동태 뒤 종속절이 따를 때
We knew √ she was innocent but she pretended to be guilty. (x)
We knew √ she was innocent but that she pretended to be guilty. (o)
→ 두 개의 종속절이 본동사의 목적어로 병렬구조를 이룰 때, 앞의 that은 생략(√)할 수 있지만 뒤의 that은 생략할 수 없다.
Of course we knew √ she was innocent, but √ there was no evidence.
→ 등위접속사 but은 독립된 절과 절을 병렬구조로 연결한다. but 앞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that이 각각 생략(√)되었으며 앞의 절의 주어(we)와 뒤의 절의 주어(evidence)가 다르므로 등위접속사 앞에 콤마가 필요하다.
Formal: We notice that he was fairly accurate with his view on world events.
Informal: We notice √ he was fairly accurate with his view on world events.
→ notice의 목적어는 him은 될 수 있어도 he는 될 수 없다. 따라서 목적어는 절이 목적어인 명사절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접속사 that을 생략(√)해도 된다.
Confusing: We noticed √ many buildings were under construction.
→ 동사(noticed)의 목적어가 many buildings로 착각할 수 있다. 동사의 목적어는 that절인 명사절이다. 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은 아니지만 이처럼 접속사 that을 생략했을 때 혼동을 주는 경우라면 that을 생략해서는 안 된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구어체 표현이나 informal English의 경우 that은 종종 생략된다.
It is certain √ he will succeed.
→ it is … that 구문에서 종종 that을 생략한다.
I think √ you are my best friend.
→ that절이 know, think, believe, tell, wish 등 구어체에 가까운 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종종 that을 생략한다.
Informal: He informed us √ patience is best for the patient.
Formal: He informed us that patience is best for the patient.
→ that을 생략할 경우 patience가 동사 informed의 직접목적어로 착각할 수 있다. that절이 inform, confirm, recognize, announce 등 formal에 가까운 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는 that의 생략을 피한다.
I don’t think √ there’ll be any problem with the psychology of our team now.
→ 종속절이 there로 시작되는 구문일 경우, that을 생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It seems √ he is angry.
The truth is √ she didn’t know it.
→ 구어체에서 that절이 주절(it seems / the truth is)의 보어일 경우 종종 that을 생략한다.
She resembles her mother in that she is fond of music.
She forgot everything except √ she had to go back.
→ that이 전치사 in의 목적어일 때는 생략할 수 없으나 except 뒤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 전치사 in과 except등 일부를 제외하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지는 않는다. in that은 ~이므로 (because)의 뜻을 가진다.